Zoom
Trash
미국 서민들 울리는 10가지 사기 유형. 경기침체 여파로 도움을 필요하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이를 악용한 사기가 전국적으로 횡행하고 있다. 경기지표는 호전되고 있지만 아직도 주택경기는 가라앉고 있으며 금값은 계속 치솟고 있다. 온 오프라인을 통하여 금융관련 사기는 해를 이어가며 서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요한 금융관련 결정은 서두르지 말고 신뢰할 만한 조언자에게 컨설팅을 받으라고 권한다.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만연하는 서민 울리는 대표적인 10가지 사기를 정리했다. 1.주택차압 구제 사기 수백만 명의 주택소유주들에게 작년은 절망의 한 해였다. 2.자선단체 사기 심각한 경기침체로 많은 사람들이 합법적인 지원을 받기를 원한다. 3.가짜 빚 수금 사기 없는 빚을 독촉하는 사기 수법이다. 4.재택근무 사기 재택근무 사기는 "손 쉬운 돈벌이"를 할 수 있다며 소비자들을 유혹하는 방법이다. 5.페이스북 사기 작년 8월 수많은 페이스북 사용자는 애플 아이패드 테스트('test'apple ipad)라는 이벤트 메시지를 받았다. 6.금 사기 금 값이 천정부지로 솟고 있다. 7.빚 조정 사기 사기업자들은 소비자들에게 크레딧카드 빚이나 여타의 빚을 조정해 준다며 약속하고 조정비용을 받아 챙긴다. 8.폰지 사기 버니 매도프가 체포된지 3년이 지났지만 폰지사기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9.
허위요금 청구 사기는 시기에 상관없이 연중 발생한다. 10.공동소유 세일즈 사기 이 사기는 브로커가 공동소유 오너에게 전화를 걸어서 참여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고 속여서 프로세싱 비용 명목으로 돈을 사취하는 수법이다. 이재호 객원기자. National White Collar Crime Center. '임금체불, 취업사기 당했다면 120에 전화주세요~' 서울시가 민생침해 행위에 대한 강도높은 단속·관리에 나섭니다. 대부업과 다단계, 전자상거래, 임금체불, 취업사기, 부동산 거래질서 교란, 청소년 성매매 등을 7대 민생 침해행위로 규정하고 민관합동으로 집중적인 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이에요. 120다산콜센터를 통해 각종 피해 사례를 접수받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임금체불, 취업사기 당했다면 두드리세요~' '민생침해 시민참여센터' 개설…16일부터 피해 접수 시작 [서울시 하이서울뉴스] 경제 불황 장기화로 경제적 곤란을 겪는 서민생활 보호를 위해, 서울시가 ▴대부업 ▴다단계 방문판매업 ▴전자상거래 ▴임금체불 ▴취업사기 ▴부동산 거래질서 ▴청소년성매매 등 민생침해 분야를 집중 관리하기로 하고, ‘7대 민생침해 행위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 가구당 평균부채액이 2010년 6,577만 원에서 2011년 7,336만 원으로 증가하는 등 서민의 고통이 줄지 않는 가운데 마련된 이번 서울시 대책은 민·관 거버넌스 역량을 모아 실효성과 지속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문가 강사진으로 구성된 경제교육프로그램 신설하여 사전 피해 예방에 역점 서울시 민생침해 근절을 위한 대책은 크게 ▴사전예방활동 ▴민·관 거버넌스 체계 구축 ▴사후구제시스템 강화로 펼쳐진다. ‘희망경제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저소득층과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피해 예방법, 권리 구제 절차 및 올바른 소비문화 조성 등을 교육한다. ‘민생침해 모니터링단’은 시민단체 주부회원, 금융기관 퇴직자 등 전문 인력 등 100명을 위촉하여 구성한다. 이와 함께 시민들의 신고 편의와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피해 신고 시스템도 구축했다. ‘민생침해 근절대책 민․관 협의회’ 구축하고 합동 단속 실시 아울러 서울시는 민·관 거버넌스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민생침해 문제 해결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다. 분야별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 금융ㆍ재무ㆍ심리ㆍ법률상담 통해 사후구제 회복 어려운 계층은 서울시 희망온돌과 연계해 최소한의 삶의 질과 재기 지원. 생활정보지 취업사기 예방 대책 급하다 - 전북일보.
'일하려면 500만원 내라' 대학생 울린 취업사기. 취업사기 당하지 않으려면 사기 유형부터 알아야 한다. 2008 Internet Fraud, Scam and Crime Statistics. Statistics regarding internet scams and frauds are presented here as a snapshot in time January 2009, but below are links to archived statistics from previous years. Web crime statistics are notoriously difficult to obtain, with many sources each calculating them in a different manner and different time frame, using a different source. To provide the most reliable picture, we use the 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s (IC3) statistics as a baseline.
The IC3 began operation on May 8, 2000, as the Internet Fraud Complaint Center and was established as a partnership between the National White Collar Crime Center (NW3C) and th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FBI) to serve as a vehicle to receive, develop, and refer criminal complaints regarding the rapidly expanding arena of cyber crime. These statistics have the advantage of the FBI's expertise, but the weakness of being 1 to 2 years out of date.
To overcome that we add our own tracking system statistics to update the FBI / IC3 statistics. What Is a Fraud Triangle? U.S. Law Enforcement Agencies Responsible for Prosecution of Fraud-related Offences in the United States. U.S. Agencies Covering Awareness and Fraud Prevention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The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NCPC) works to prevent crime and build safer, more caring communities. NCPC’s major initiatives include the National Citizens’ Crime Prevention Campaign (NCCPC), an alliance of national, state, and federal organizations that works with businesses, civic groups, individuals, and law enforcement to generate crime prevention awareness and action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a variety of mechanisms. The campaign includes a serie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ublications, training, technical assistance, and program development.
NCPC, Phone: 202/466–6272, Fax: 202/296–1356 Americ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s 601 E St. Washington, D.C. 20049 AARP sponsored the first large scale survey of telemarketing fraud victims. The Financial Crimes Task Force of Southwestern Pennsylvania The Commission receives approximately 95,000 "hits" per day on this home page. The U.S. Reports and Publications. Association of Certified Fraud Examiners - ACFE Report on Occupational Fraud. ACFE Report on Occupational Fraud Occupational Fraud: A Study of the Impact of an Economic Recession Intense financial pressures during the economic crisis have led to an increase of fraud, according to a survey of fraud experts conducted by the ACFE. Results of the survey, published in the new ACFE report "Occupational Fraud: A Study of the Impact of an Economic Recession," also found that layoffs are pervasive and are leaving holes in organizations' internal control systems.
The report, recently detailed in the Wall Street Journal, is based upon the responses of more than 500 randomly selected Certified Fraud Examiners (CFEs). CFEs are experts in fraud detection, prevention and deterrence, and must pass a rigorous exam as well as meet high professional, educational and ethical standards. "The message to Corporate America is simple: Desperate people do desperate things," said ACFE President James D. The survey also found that: Layoffs are affecting organizations' internal control systems. Association of Certified Fraud Examiners - Fraud Train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경제불황 속 서민 두 번 울리는 '사기' 극심한 경제불황,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가? 전 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로 자영업자들은 물론 봉급 생활자들까지 생계를 위협받을 정도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해 시작된 금융위기는 우리나라라고 예외일 수는 없었으며 지금 이순간도 생계를 걱정하는 서민들의 눈에서는 눈물이 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어느 정도 수입이 있다는 중산층도 예외가 아니며, 전 세계적인 주가 하락, 부동산 가치 하락, 그리고 금리 인하로 돈이 있는 가정들 역시 어디에 돈을 투자하든 간에 손해를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서민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살기 위해서, 돈이 있는 계층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투자처를 찾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람이 이런 절박한 상황에 내몰릴 때 여지없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이런 절박한 심정을 이용한 사기라 할 수 있다. 사기 유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사기에도 유행이 있다? 세계적인 경제 위기가 닥친 지금, 자영업자들의 폐업은 줄을 잇고 있고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봉급생활자들까지 회사에서 속속 퇴출당하고 있는 지금, 일자리를 찾을 수 없는 사람들은 빚을 내서라도 새로운 사업에 눈길을 돌릴 수밖에 없다. 얼마 전 추적 60분에서 프랜차이즈 본사의 횡포를 방송한 적이 있다. 물론 일리가 있는 말이다. 이 구조를 잘 보시라. 게다가 프랜차이즈 본사가 부도가 난다면? 물론 정직하게 본사를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업계도 있고 횡포를 부리는 프랜차이즈도 있다. 몇년 전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모 pc방 사건도 그렇다. 피해야할 프랜차이즈 유형 프랜차이즈 사기는 마약과도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사기를 치려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 전과가 있기 마련이다.
둘째, 현재 성행하는 프랜차이즈를 그대로 베낀 프랜차이즈는 피하는 것이 좋다. 프랜차이즈 가입 전 반드시 명심해야 될 사항 사람들은 흔히 프랜차이즈 하면 난 몸만 일하고 나머지는 본사에서 알아서 해주겠지라는 안일한 마음을 먹는 경우가 많다. 첫째, 눈으로 본 정보를 믿어라. 둘째, 프랜차이즈도 결국 내사업이다. 부동산이 지고 금융이 뜬다. "구직자 울리는 취업사기 올해도 있었다" :: 한국소비자연대뉴스. 취업사기 예방·대처법 : 직장·창업·취업 : 경제. Sunday Journal USA - 미주한인사회의 대표 언론지. 취업미끼에 개인정보만 털려 최근에는 인터넷상에 구인 광고를 빙자한 신분 도용 등 갈수록 교묘해진 취업 사기들이 한인 사회에 속출하고 있다. 작년 대학 졸업 후 1년여 동안 직장을 구하지 못해 ‘절치부심’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최모씨는 지난 6월 한 취업 관련 웹사이트에 올라온 구인 업체들의 광고를 보고 여러 곳에 이력서를 제출했다. 며칠 뒤 한 업체에서 인터뷰 스케줄을 잡자는 이메일과 함께 신상 조회를 위해 소셜시큐리티 번호 등 개인 정보와 진행 비용 5달러를 요구받고는 크레딧카드 번호를 준 게 화근이었다.
이후 100달러가 넘는 금액이 카드에서 빠져나가 최 씨가 해당 웹사이트를 확인해보니 유령 사이트인 것으로 드러났다. 최 씨는 “구인·구직 웹사이트가 그럴듯하게 보여 별 의심 없이 지원했다가 오히려 돈만 잃고 개인 정보도 유출당했다”며 “유명 회사의 이름과 비슷해 확인도 않은 채 정보를 줬던 게 실수였다”고 탄식했다. 취업을 미끼로 한인 여성들을 현혹하는 유흥업소들의 온라인 광고에 속았다는 한인 여성 피해자들도 나오고 있다. LA 코리아타운을 관할하는 올림픽 경찰서에 따르면 “최근 일자리와 어학연수 기회까지 제공한다는 한인타운 내 업체의 온라인 광고를 믿고 한국에서 건너온 한 여성이 LA에 온 지 2주 만에 사기를 당했다”며 신고해와 경찰의 도움으로 한국으로 돌아갔다는 것. 경찰 관계자는 “유흥업소 등에서 일반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것처럼 현혹한 뒤 접대를 강요당하는 피해자들이 있다”며 “온라인상의 구인 광고가 의심스러울 경우 전화번호 등을 물어 확인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온라인 재택업, 돈만 날려 더디기만 한 미국경제의 회복과 취약한 한인사회의 노동시장이 취업 사기꾼들에게는 돈 벌기에 더할 수 없는 조건이 되고 있다. 돈을 보내면 바텐더나 주택 감정사 혹은 소매상들을 위한 ‘시크릿 샤퍼’로 일하게 해주겠다며 돈을 뜯어가는 이런 종류의 사기는 주류사회에서 오랫동안 있어 왔다.
단 조건이 하나 있었다. 결국 유씨는 은행 계좌에 있는 잔고를 탈탈 털어 돈을 만들었다.